샤먼에서의 밀회

중국 남방의 도시 廈門(Xiamen)은 세차례 간 셈이다. 그러나 생소하기는 마찬가지이다. 한번은 홍콩에서 배로 왔다 갔고, 두번째는 샨토우에서 버스로, 이번에는 홍콩에서 비행기로 갔기 때문이다. 아니 똑같은 경로로 샤먼을 갔다 하더라도 생소하기는 매한가지이리라.

홍콩에서 스타크루즈를 타고 도착한 첫번째의 방문은 8월 염천의 땡볕 속에서 난부퉈사(南普陀寺)를 본 후, 홍콩으로 배로 돌아갔고, 두번째는 밤에 도착하여 다음 날 낮동안 상담을 벌인 후 밤에 구랑섬(鼓浪嶼)을 배회했었다. 그래서 낮과 밤의 편린 속에서 아득한 정경으로 기억될 뿐이었다.

덜컹거리는 남방항공을 타고 한숨을 자고자 했으나, 옆에 탄 대만계 미국인이 자꾸 말을 걸었고 서로 명함을 바꿀 즈음에 비행기는 할주로에 랜딩했다.

자주 만나지는 못했지만 오랫동안 알아왔던 중국인 친구가 공항에서 우리를 맞이했다. 우리는 그의 차로 샤먼의 바로 옆에 있는 漳州(Changzhou)의 거래선을 방문했다.

다시 샤먼으로 돌아와 고객들과 함께 저녁식사를 했다.

친구는 가라오케를 가자고 했으나, 호텔로 돌아가 잠을 자려고 했다. 나의 사양에 친구는 술이 싫으면, ‘차이니스 티’나 한 잔 하자고 했다.

그때 남방의 밤은 약간의 습기와 미적지근한 미열에 들떠 있었다. 불빛이 꺼져 침울해진 도로 위로 가로수들이 끝을 알 수 없는 어디론가로 서서히 걸어가고, 도로는 가로수를 따라 어둠 속으로 침몰하고 있었다. 타국에 서 있다는 고적감에 잠을 자지 못할 것 같다는 느낌이 밀려왔다.

‘좋다! 그래, 차나 한 잔 더 하자’고 했다.

길 가에 차를 세우고 타국의 낮설고 어두운 골목길로 들어 갔다. 골목이 끝나고, 건너편 샤먼 시내의 건물들의 불빛이 호수 수면에 조용히 꿈틀대고 있었다.

찻집은 골목 끝, 호수가 내다 보이는 빌라의 1층에 놓여 있었다. 별로 치장을 하지 않았음에도 화선지에 힘이 깃든 ‘茶’ 글자가 하나가 운치를 살려내고 있었고 그 옆의 바위에 ‘茶禪一味’라고 진부하기는 하지만 유려한 필치의 문장이 음각되어 있다.

호수 쪽으로 빈방이 없자 친구는 주저하는 듯 하다가, 방에 있는 자들이 잘 아는 사람이라며 그들과 합석을 하자고 했다.

방에 들어서자 여자 하나가 차를 끓이고 있었고, 여자의 주위로 세 남자가 오랜 시간을 보낸 듯 등나무 의자 속에 비스듬히 몸을 묻은 채 우리를 보았다.

그들은 그 자세로 나에게 잔을 주었고 나는 그 잔을 받음으로써 우리는 곧바로 친해질 수 있었다. 서로 말을 나눌 필요도 없이 여자가 잔에 차를 따랐고 그 맛을 음미했다. 그리고 남방의 밤은 서서히 무르익어 갔다.

차를 끓이는 열기와 내가 피워대는 담배 연기를 식히기 위해서 창을 열었다. 밤이 깊었는 지 창을 통해 들어오는 바람은 시원했다.

여인은 두가지 차를 만들었다. 우리는 차 뚜껑에 스미는 향기를 비교했고, 그 후 차 맛을 음미하고 어느 쪽이 좋은 가를 말하곤 했다. 그런 절차는 몇번인가 이루어지고 또 다른 차 잎을 잔에 담은 뒤 그 향기와 맛을 비교하는 식으로 진행되었다. 일본과 같은 절도나 형식은 없었지만, 조용하고 부드러운 정취가 우러나는 것이었다.

우리는 한시간인가 두시간인가를 차 맛을 비교하고 조용히 이야기를 나눈 후 자리를 떴다.

아침에 잠에서 깨어나 하늘을 보니 남국의 이 곳에도 가을의 빛이 하늘을 가득 덮고 있었다. 푸른 하늘과 모든 사물들 속까지 투석해 낼 정도의 깊고 투명한 햇빛이 호수와 도시의 곳곳에서 반사되고 있었다.

비행기 시간까지 충분한 시간이 남아 있었다. 그래서 샤먼 구시가에서 1Km도 안 떨어져 있는 섬, 구랑유(鼓浪嶼 : Gulangyu)로 갔다. 그 섬은 중국의 영웅 鄭成功(Zheng Cheng Gong)의 요새이기도 하고 아편전쟁 이후 최초의 개항지이자 영국의 조계였던 만큼, 19세기 서구식 건물이 빼곡히 들어차 있었다.

페리에서 내려서 우리는 서구풍의 퇴락한 골목길 안으로 들어갔다. 거기에는 차를 파는 가게와 건어물상, 조그만 해선주가(해물을 요리하여 파는 식당)들로 번잡스러웠다. 토요일이라서 거리는 관광객들로 거리는 터질 듯했다.

좁은 골목을 벗어나자 높다랗게 자란 야자수가 한적한 골목길에 줄줄이 늘어서 있다.

우리는 섬의 가장 높은 곳, 日光巖으로 올라갔다. 바위로 오르는 길은 낮은 시멘트 담으로 둘러있어 방어요새와도 같았다.

일광암에 오르자 구랑유의 모든 것이 보였다. 아직도 짙푸른 수풀 속에 집과 건물들의 붉은 지붕이 가을날의 일광 아래 한가로와 보였다. 저 멀리 대만령인 금문도(金門島: Jinmen)에 연이은 섬들이 샤먼의 내해에 점점이 박혀 있고, 협만의 건너편 샤먼 구시가의 건물들 또한 보였다.

잠시 해변을 거닌 후, 도선장 쪽으로 돌아갔다. 사람들은 줄었고 신령스럽게 생긴 벵골보리수(榕樹)가 오래된 둥치를 드러내며 높다랗게 거개를 펼치고 있으며, 가지로 부터는 갈색 수염을 땅까지 드리우고 있다.

길을 따라가자 아까 지나쳐 왔던 삼거리가 나왔다. 붉은 벽돌의 건물들과 전석이 깔린 포도 위로 사람들이 서서히 걷고 있었다. 그들은 아무 의지없이 어디론가로 가고 있었다. 그런 모습들은 인생만큼 무의미했고, 익숙했던 생활처럼 나에게 다가왔다. 나는 주위를 둘러보았다. 이발소와 간판과 책방과 건어물상으로 부터 스며나오는 생선이 부패하는 냄새. 중년의 악사가 기타를 치며 중국가요를 부르고 있었고, 빛과 그림자는 삼거리와 사람들과 모든 것 속으로 스미면서 11시가 되었다.

나는 그 지점에 멈추어 섰다.

지쳐버린 열정과 같은 것이 가슴을 스치고 지났다. 삐뚜러지고 엉성한 가로의 모든 부분들이 용해되고, 저들과 나의 갈라짐이 삼거리의 한 지점에서 합류하고 있었다. 몽롱한 갈증에 어쩔 수가 없었다.

그래서 삼거리를 지나 사람들이 걸어다니는 곳으로 서서히 스며들었다.

<2004.10.14~16일의 여행 중>

샤먼에 대한 일절..

복건성 사람들에 대해서 말하길 절반은 해적이고. 아니면 밀수를 하거나 화교의 華商들이 되었다고 한다. 특히 샤먼은 복건성의 남단에 위치해 있으며, 복건성의 남부를 민남(閩南)이라고 한다.

샤먼은 구룡강이 흘러드는 만 내의 섬으로 아모이라고 불리어 졌다. 하문은 민남어로 아몬이며, 흑선무역하던 영국 네덜란드인들이 아모이라고 했다고 한다.

이 아모이는 송 원대부터 창쩌우의 외국무역의 문호역할을 하면서, 만의 여러 섬과 더불어 해적과 밀무역의 거점이 되어왔다.

샤먼의 역사와 중국의 근대사, 대만의 역사는 함께 하고 있다.

대만은 3세기의 중국의 사료에 나오며, 원 명대에 이르러 중국인들이 이주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명말(1590년)부터 포르투칼인들이 방문하여 아름다운 섬이라는 뜻으로 포모사(Formosa)라고 불렀다. 그 후 네델란드와 에스파냐가 대만에 1624년과 1626년에 중국인들을 누르고 성채를 구축한 후, 결국 네델란드가 1642년 에스파냐를 구축하고 지배권을 확보한다.

그러던 중 일설에는 아버지를 중국인, 어머니를 일본인으로 하는 해적인 정성공이 1661년 대만으로 쳐들어가 네델란드를 몰아낸 뒤, 복건성 남부인(민남인)들을 대거 대만으로 이주시킨다. 그래서 현재에도 대만의 본토 방언이 민남어이다.

또한 샤먼은 아편전쟁 이후 1843년 6월 남경조약에 근거, 홍콩을 영국에 할양하고, 광저우[廣州]·푸저우[福州] ·닝보[寧波] ·상하이[上海] 등과 함께 개항한다.

또한 샤먼 앞의 금문도에서 1970년경에 대만과 중공 간 교전이 있었는 데, 대만의 일방적인 승리로 끝났다, 그 후 모택동은 대만 고립정책의 일환으로 1971년 일본의 나고야[名古屋]에서 ‘핑퐁외교(ping-pong diplomacy)’를 전개하였고 닉슨이 중국방문을 함으로써 중국이 서방에 접근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결국 중국의 근대사와 개방과 개혁의 단초가 되는 지점이 바로 아모이, 샤먼인 것이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