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14에 대하여

누군가가 책을 읽는데 가장 적합한 장소는 어디냐고 묻는다면, ‘1968년 4월 저 휑한 방에 있던 딱딱한 매트리스 위’라고 대답할 수 밖에 없다. 작품의 한줄 한줄이 마음에 잔잔하게 스며드는 장소 – 그런 장소가 즉 내게는 ‘서재’이다. 임즈의 라운지 체어와 모빌리아의 스탠드와 AR 스피커에서 조용하게 흘러 나오는 텔레만도 나쁘지는 않다. 그러나 ‘그것은 그것’이다. 존 업다이크를 읽기 위해서는 존 업다이크를 읽기 위한, 치버를 읽기 위해서는 치버를 읽기 위한 가장 좋은 장소 어딘가에 있을 것이다 란, 기분이 든다.

‘존 업다이크를 읽기 위한 가장 좋은 장소’/무라카미 하루키

이 글은 아무 내용도 없이 호사스럽다. 존 업다이크는 읽어보지 못했고, 치버란 어떤 작자인지 모른다. 텔레만이 바흐와 헨델의 동시대 작곡가라는 것을 이 글을 읽기 전까지는 몰랐다. 임즈의 라운지 체어와 모빌리아의 스탠드 어쩌고 하면, 그것들이 놓였을 햇볕이 잘 드는 거실과 티크목으로 치장되어 은은한 향내가 나는 내실이 그려질 뿐, 정작 그 물건에 대해서는 도무지 상상을 할 수 없다. 임즈의 라운지 체어와 모빌리아의 스탠드는 실체를 가늠할 수 없는 금박으로 만든 기호일 뿐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것들에 대하여 철저하게 무지할 수 밖에 없다. 하루키는 이러한 무의미하거나 사소한 것들로 우리의 허황한 욕망의 변죽을 자극할 뿐이다.

결론적으로 임즈의 라운지와 모빌리아의 스탠드 등등을 아는 그 자식의 똥은 무지하게 굵다는 것이다. 빌어먹을 하루키!

이 글에서 내가 아는 것은 단지 AR 스피커일 뿐이다. AR 스피커는 1950년에 나왔고, 시장에 AR-4X 등으로 소개된 시점은 1960년대 후반이며, 텔레다인사에서 AR을 사들여 AR11, 14 등 10시리즈로 대중화시킨 때는 1970년대 말이다. 하루키의 글에 나오는 AR 스피커는 문장의 내용으로 볼 때, 1968년 4월과 딱딱한 매트리스와는 별개의 시공에 존재하는 것이다.

AR14를 내가 처음 만난 때는 85년이었다. 출시된 시기가 77~80년이니까 5~8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청계천에서 만났을 때, 놈의 몰골은 이십년 쯤 족히 썩은 것으로 보였다. 아크릴 배수망으로 포밍된 그릴과 우퍼의 옆에 덧댄 스펀지는 조해가 되어 손으로 만지면 바스러져 먼지가 되곤 했다.

JBL을 사지 않고, 못 생긴 AR을 사게 된 것은 돈이 좀 모자랐다는 것이 이유이긴 했지만, 인클로져(스피커통)에 에어덕트(구멍)이 없고, 우퍼가 JBL처럼 얕지 않고 깊다는, 사소한 것 때문이었다. 또 저음이 울릴 때 JBL처럼 우퍼의 엣찌가 찰랑거리지 않고 심박처럼 벌떡이는 것이 마음에 들었다.

오디오 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저음이 어떻고 현악의 소리가 죽이고 하는 그런 것과는 전혀 상관이 없었다. 그러니까 그 흉물을 귀로 듣고 산 것이 아니라 멍청하게도 눈으로 보고 산 것이다. 그렇다고 당시에 AR 스피커에 대한 정보가 나에게 있었던 것도 아니다.

1짝에 15Kg, 1조에 30Kg가 되는 놈을 용달에 싣고 집으로 돌아가면서 뭔가에 홀린 것이 아닌가 했다.

3~40만원을 주고 산 스피커를 어머니께는 5만원인가 주었다고 했다. 스피커의 꼴상을 보신 어머니는 고물상에 엿이나 바꿔 먹어야 할 스피커에 5만원씩이나 주었냐고 하셨다.

그동안 쓰던 캔우드 대신 놈을 앰프에 물렸을 때, 소리가 더 나빠진 것이 아닌가 했다. 캔우드는 우퍼의 콘지가 펄프로 만들어진 반면, AR은 섬유로 만들어져 소리가 다소 텁텁했는 지도 모른다.

어찌 되었건 놈과 5년을 지냈다. 그러면서 점차 정이 들었다. 놈의 소리가 좋다거나 그런 것은 잘 모르겠다. 귀로 음악을 듣기도 했고, 때론 가슴과 배로 소리를 들었다. 놈이 토카타의 낮은 음을 토해낼 때, 방 안의 창이 떨렸고 뱃속은 얼얼했다. 음압을 제로로 놓고 앰프의 스위치를 켜면, 범종의  여음이 사라진 후 공기 속에 감도는 그 긴장감이, 방 안을 휩싸곤 했다. 놈의 소리는 포근했지만 저능율의 스피커가 앰프의 출력을 삼키는 날카로움이 소리 속에 베어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우퍼 옆의 스펀지는 다 삭아 내렸고, 트위터의 옆에는 눈꼽과 같은 것이 생기고 통에는 버짐이 번져갈수록, 놈이 힘겹게 소리를 울려대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그동안 앰프와 튜너는 몇 차례 바꾸었지만, 바뀐 오디오의 한쪽 구석에는 무뚝뚝한 놈이 요지부동 자신의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89년에 우리는 아파트를 샀다. 중도금, 잔금 등에 쪼달리던 아내가 오디오를 팔자고 했다. 나는 오디오를 청계천으로 들고 가 팔았다. 앰프와 튜너, 텐테이블을 팔 때는 아무렇지도 않았지만, AR을 내 놓을 때 “여보! 저 놈만 가지고 있으면 안 될까?”하고 물었다. 아내는 “오디오 기기는 켜 주질 않으면 망가진다며?”라며 단호하게 나의 말을 잘라버렸다.

단골이었던 가게주인은 종종 와서 차라도 한잔하고 가라고 했다.

수년 후 그 가게를 다시 들렀을 때, 거기에는 깨끗하게 우퍼 엣찌와 스펀지가 수선이 된 AR14가 있었다.

“이 놈 참 깔끔하게 생겼네요”하고 놈을 쓰다듬었다. 그때 나와 함께 5년을 보냈던 그 놈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때의 느낌은 가난할 때 헤어진 애인이 멋진 성장을 하고 내 앞에 나타난 느낌이었다.

AR14는 나에게 가장 이상적인 스피커의 전형으로 각인되어 버린 모양이다. 그보다 더 좋은 스피커를 구할 수 있고, 현재 가지고 있는 지도 모르지만, 놈을 다시 한번 내 곁에 두고 싶다.

스피커의 수명은 대체로 20년쯤 된다고 한다. 그러고 보면 30년 된 AR14는 은퇴를 하고 관 뚜껑에 못질을 하고도 한참이다. 그러나 아직도 놈들은 망령처럼 시장에 불쑥 불쑥 나타나기도 한다.

AR14는 명기라고 할 수도 없다. 싸다고 하기에는 좀 비싸고, 빈티지라고 불리기에는 출시 당시에도 AR10pie나 AR11의 보급형으로 나왔던 기기다. 그리고 지금은 나돌고 있는 것 중 많은 것들은 우퍼의 엣찌를 갈았거나 신호를 분배해주는 어테뉴에이터에 이상이 있다. 그리고 언제 졸지에 사망을 할지 도무지 가늠을 할 수 없다.

그럼에도 소장하고 있는 사람들은 AR의 낡고 허름한 소리에 반하여, 놈이 죽을 때까지 함께 하겠다고 한다. 특히 AR14에 대한 선호도는 더 한 것 같다. 중고시장에서 볼 수 있는 AR은 10 시리즈가 아니라, 그보다 후에 나온 우퍼가 두개, 미드레인지, 트위터 등을 주렁주렁 단 덩치가 큰 모델들이 주류를 이루고, 10시리즈 이전의 사과궤짝과 같은 AR 3a, 4X 등이 고가를 형성하고 있다. 10시리즈가 나와도 AR -18등의 소형 북셀프가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AR14의 가격에 비한다면 10만원이 적당하나 20만원 선)에 나돌 뿐이다. AR11이나 14 등의 기기는 가물에 콩나듯 나오고, 나와도 순식간에 처분이 되어 내 손에 떨어지기란 하늘에 별따기다.

이렇게 누추하고도 값싼 스피커에 대한 유혹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This Post Has One Comment

  1. 旅인

    [애린]
    여인님의 덧글을 읽고는 너무 기뻐서 가슴이 떨립니다. 티스토리로 옮긴 후에도 자주 찾아갔었는데, 도둑이 제발 저린다고 괜시리 입이 안 떨어져 글을 남기지 못 했어요.
    [여인]
    요즘 거의 포스트도 못만들고 블로그도 못했었는 데, 오늘 들렀다가 혹시나 하고 티스토리로 달려갔습니다. 접속이 되어 다행입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