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참으로 오래간만에 황석영씨의 소설을 읽었다.

처음으로 그의 소설을 만난 때는 1974년이었다. 중학교 때 집의 마흔 몇권짜리 한국문학전집에는 그의 이름이 없었다. 그때 만 해도 그는 신예작가였던 셈이다.

고등학교에 입학한 나는 한국문학을 거의 끝내고, 외국소설 쪽으로 방향을 옮겨가고 있었다.

1974년 겨울방학에 시작되던 무렵, 황석영의 중단편 모음집 <객지>를 만났다.

객지를 야금야금 읽었다. 하루에 중편이나 단편, 한편씩 읽었다.

그리고 유신의 엄동 아래, 우리나라가 몹시도 을씬년스럽다는 것을 가까스로 알았다.

그 책을 읽었던 겨울방학은 <삼포 가는 길>처럼 유독 추웠다.

그 후 그의 소설을 닥치는대로 읽었다.

그리고 이철용인가 하는 사람의 이야기인 <꼬방동네 사람들>에서 그의 소설 읽기를 마쳤다.

그의 소설은 자연주의를 지향했고, 르뽀문학과 같은 향취를 지니고 있었다. 빈민의 삶과 교착된 월남전선의 한계 상황 속에서도 황석영의 글은 늘 서정적이었고 그만큼 문학적이었다.

그러나 <꼬방동네 사람들>을 읽고, 그가 문학적 서정을 포기하고 르뽀를 지향한 것이 아닐까 하고 더 이상 황석영씨의 소설 읽기를 포기했다.

그의 글 읽기를 마친 후, 박정희가 죽고 전두환이 들어섰고, 광주항쟁이 일어났고 동유럽의 장벽이 허물어졌으며, 장길산은 여전히 쓰여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동안 내가 읽은 황석영의 글은 <삼국지>를 번역한 것이 다였다.

그리고 80년대, 90년대를 접고. 2008년 어제, <바리데기>를 읽었다.

그동안 그의 <오래된 정원>을 읽고는 싶었다.

바리데기는 70년대의 짧은 체험 현장의 치열한 울림은 없다. 장대하고 서사적인 곡조였다. 한 가족이 뿔뿔히 흩어지고 죽어가고, 바리데기 자신이 중국을 지나 영국에 까지 이르는 그 지옥과 같은 시간들이, 저 세상 속의 생명수를 찾아가는 처참한 시간들과 겹쳐지면서, 과거의 아픔으로 응결되지 않고 끊임없이 현재 속에 이개지면서 죽음의 세상인 서천으로 서천으로 흘러가고 있었다.

어제 지방공항에서 책을 사서 두시간 만에 책 읽기를 마쳤다. 예전의 그의 글을 읽던 속도에 비하여 폭발적인 스피드로 읽었지만, 그의 글의 폭은 넓고 유역이 광대해서, 이제 늙은 대가의 체취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 소설보다 나는 그의 오래된 글들이 좋다.

참고> 바리데기

This Post Has 3 Comments

  1. 컴포지션

    오래된 글들은 한번 읽어보고싶네요. 어머니께 한번 여쭈어 보아 좀 부쳐달라고해야겠습니다. 그런데 MB스러운 발언이라니 궁금한데요?

    1. 여인

      MB스러운 발언? 저도 잘모릅니다.
      하지만 저 나름대로 정의를 내린다면, 입에 발린 소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아무런 진정성도, 자신에 대한 반성도, 가슴도 없이 하는 말. 그래서 믿을 수 없다는 것이죠.
      그리고 중도나 실용이라고 할 때, 단어 속에 아무런 이념이나 노선도 없는, 단지 보수를 국민들이 싫어하니까 중도, 아무 것도 없는 것보다 실용이 낫기 때문에 실용이라는 느낌이 너무 강하다고 할까요?

      황석영씨의 문장은 황순원씨 이후 제일 아름다운 미문이라고 합니다.

답글 남기기